아 엔비디아 색감 진짜... ㅠㅠ by 함부르거

비트코인 때문에 GTX1050으로 갑니다.

위 글에서 쓴대로 엔비디아의 GTX1050을 구매했습니다. 카드 제조사는 제가 좋아하는 MSI. 

처음에 달고 벤치마크 돌려 보는데 감동이었죠. 뭐 프레임 수가 최대 4배가 나오니... 6년 전에 AMD HD6850 구매할 때 17만원인가 줬는데 이번에 15만원 주고 이런 성능이 나오니까 물가상승률을 보자면 가성비가 4배 넘게 나온다는 이야기 아닙니까. 기술의 발전이 좋긴 좋구나 하고 좋아했죠.

근데 즐기던 게임을 돌려보니... 아... 내가 이래서 엔비디아를 안 좋아했구나... 6년 전에 왜 암드를 선택했는지 까먹고 있었구나... 하는 걸 절감했습니다. 아 씨 색감 쫌... 도트 쫌... ㅠㅠ

미디엄 옵션으로나 간신히 돌리던 게임을 최상위 옵션으로 돌리게 된 건 좋은데 색감이 적응이 안되요. ㅠㅠ 왜 이렇게 색이 튀고 거친 느낌이 나는지.. 색은 둘째치고 줌아웃 하면 안티 앨리어싱 안돼서 도트가 자글자글한데 으아... 으악... ㅠㅠ 

딱 아래 짤방에서 오른쪽 인텔 느낌입니다. 이 짤방 만든 사람은 눈이 삐었나? 인텔하고 엔비디아는 자리를 바꿔야 합니다. AMD는 정확한 느낌입니다. 


뭐 이왕 산 거 또 바꾸기도 뭐하고, 사람의 감각이란 건 적응하기 나름이니 쓰다 보면 적응 되겠죠. 그래도 이 불쾌한 감각은 어쩔 수가 없네요. 다음에는 절대로, 결단코, 엔비디아 안 살 겁니다. ㅠㅠ 벤치마크에서 밀려도 암드만 살 겁니다. ㅠㅠ 

생각해 보니까 그래픽카드 사온 순서가 ATI (AMD에 인수되기 전) -> 엔비디아 -> AMD -> 엔비디아 이렇게 왔다 갔다 했는데 암드 쓸 때는 항상 만족스러웠고 엔비디아 쓸 때는 항상 불만이었네요. 역시 주관적인 요소가 강한 그래픽이나 사운드는 벤치마크 이런 거 다 필요 없고 자기가 좋아하는 브랜드 써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마무리 하겠습니다.


ps. ATI 시절부터 2D의 레이디언, 3D의 지포스 이런 이야기가 있었는데 세월이 지나도 바뀌질 않는 거 보면 회사의 전통은 유구한 모양입니다. -_-;;;;

핑백

  • 함부르거의 이글루 : PC 업그레이드 하려는데 골아프네요. 2019-02-27 07:41:16 #

    ... . 이러다 샌디 10년 쓰게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. -_-;;; 그래픽 카드가 암드인 것은 앞으로는 엔비디아는 절대 안쓰겠다는 개인적인 고집 때문입니다. 케이스는 세컨 컴으로 지금 쓰는 샌디를 내릴 용도라 대충 아무거나 때려 넣은 겁니다. 예산은 한 150 생각 ... more

덧글

  • 홍차도둑 2017/06/30 10:53 #

    ...절절히 동감합니다. 제가 투컴 사용자이지만 사진 보정할땐 라데온의 rx240...이 아주 그냥 만족스럽게 썼지요(지금도 가지고는 있음). 반면 지금 gtx계열은...그래 드라이버 충돌.셋팅 고민 덜하고 스피드. 발열은 좋은데...그노무 쌕감 쌕감이!!!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1:28 #

    전력소비도 엔비디아의 압승이예요. 전에 쓰던 건 12V 보조전원을 먹는데 이건 신형이면서도 안먹는 거 보고 설치하면서부터 감동먹었는데 말이죠. ㅠㅠ 말씀하신대로 드라이버 세팅 같은 것도 편하고...

    그노무 색감이 진짜...... ㅠㅠ
  • O_O 2017/06/30 11:26 # 삭제

    음.. 사진가로서 갸우뚱 하게 되네요.
    모니터 켈리브레이션을 안하신거 아닐까요?
  • O_O 2017/06/30 11:28 # 삭제

    첨언 하자면.. 보통 모니터 켈리브레이션을 위해 스파이더 시리즈 같은 하드웨어 켈리브레이션을 하지 않는 이상 어떤 그래픽 카드건 정확한 색을 표현하지 못하는걸로..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2:03 #

    통상의 웹서핑 화면이나 동영상에선 아무 차이도 못 느끼니 캘리브레이션 문제는 아닙니다. 철저하게 3D 그래픽 문제예요. 특히 게임 쪽에…

    그리고 3D에서 도트 튀는 건 캘리브레이션과는 아무 관계 없죠.
  • 2017/06/30 11:59 # 삭제

    저도 엔비디아 라데온 둘다 썼지만 .. 켈리브레이션 지원하는 모니터로 색감 설정하고 나면 괜찮던데요..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2:03 #

    음 한번 캘리브레이션 해볼까요. 근데 장비가 없으니…
  • 식용달팽이 2017/06/30 13:12 #

    3D게임쪽 색감 문제는 캘리로 해결되는 문제도 아니죠;; 그냥 출력 색상값이 아예 다른 것;;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3:50 #

    그렇죠? 2D에서는 다른 걸 못 느끼는데 3D에선 너무 달라서 말입니다.
  • 2017/06/30 14:34 # 비공개

    비공개 덧글입니다.
  • 2017/06/30 14:40 # 비공개

    비공개 답글입니다.
  • 김안전 2017/06/30 15:10 #

    게임 뿐만 아니라 ati쓰다가 엔비디아써보면 바탕화면 색감부터 차이가 느껴자더군요. 그 외에 다중 모니터 사용시 cpu니 보드도 amd면 다중 출력이 가능하기도 하고요. 근데 드라이버니 이런건 개인적 호오가 있으니 뭐... 엔비디아도 비슷하게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고는 하더군요.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5:18 #

    엔비디아 색감 좋아하는 분들도 있으니까 개인적인 호오의 영역인 건 맞죠. 저는 아무래도 엔비디아 쪽 색은 좋아할 수가 없네요.
  • 역성혁명 2017/06/30 15:40 #

    라데온이 아직 퇴물은 아니에요.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6:44 #

    당연히 퇴물 아니죠. 벤치마크 테스트마다 조금씩 부족해서 그렇지... 벤치만 보고 기계 특성을 생각 안한 제 실수였습니다.
  • 트릭스터 2017/06/30 17:42 #

    위 짤방대로라면 저는 라데온 쓰겠습니다. 모든 이미지를 2D모에화시켜주는데 이것만큼 엄청난 성능의 그래픽카드가 세상에 있나요.
  • 함부르거 2017/06/30 17:43 #

    ㅋㅋㅋㅋ 뭐 저정도는 아닌데 AMD 쪽의 색 표현이 부드러운 느낌인 건 있어요.
  • ㄷㄱ 2017/07/04 12:51 # 삭제

    AMD 라데온 NVIDIA 지포스 색감의 차이?
    http://www.coolenjoy.net/bbs/37/143643

    개인적으론 색감논쟁을 종결시킨 테스트라고 봅니다.
※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.


트위터위젯